배우자의 외도
외도는 배우자에게 극심한 고통과 상처를 주게 됩니다. 그러나 이것은 오로지 둘만의 문제로 끝나진 않는 것 같습니다. 만약 자녀가 있다면 훨신 복잡해지고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정서적,감정적,육체적으로 심한 배신감과 상처를 입게 되고 이러한 상황 가운데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.
만약 배우자의 외도 때문에 자녀문제에 대한 고민이 있으실 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부산탐정사무소에서 알려드려 보겠습니다.
배우자의 외도 아이에게 어떻게…
우선 외도때문에 양육문제,소송문제,를 고민하고 있다면 이 사실을 자녀에게 말해야 할지, 숨겨야할지, 매우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. 이땐 우선 자녀의 나이와 정서적 성숙도를 따라 판단하고 조심히 접근해야 하겠습니다.
- 7세 이하 자녀: 아직 이해력이 낮고 외도에 대한 개념자체가 무의미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보다는 부부간의 갈등과 환경적인 문제로 인하여 생활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는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초등 학년: 정서적 지능이 어느정도 발달했기 때문에 가족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. 너무 충격적인 말 보다는 부부간의 갈등으로 인하여 떨어져 살아야 되지만 아이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계속 되고 있음을 강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.
- 청소년기: 자율성과 판단력이 생기긴 하지만 아직까지 불안정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청소년기에는 어느정도 부부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진실을 전달하고 감정표현을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감정이 아닌 아이중심
외도로 인하여 정서적 혼란을 겪게 될 수 있으므로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아이 중심의 대처가 핵심입니다. 아이의 입장에선 부모님이 자신들을 버렸다는 잘못 된 해석을 할 수도 있고, 어느 한쪽편을 강요하여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수 도 있으며 자신들의 탓으로 돌리는 자책감을 가질 수 도 있습니다.
부모의 행동
감정적인 상황 대처가 아닌 최대한 일상을 유지하면서 지내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.
- 평소의 루틴
- 식사시간,잠자는시간
- 학업 또는 취미활동
이러한 일상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한 상황변화속에서도 서서히 안정감 느끼며 지낼 수 있습니다.
이혼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
배우자의 외도를 알게 되었을 때 이혼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데 특히 자녀문제 때문에 망설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. 이혼으로 인해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 고민할 수 밖에 없는데 이혼 자체보다 더 중요한 건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.
- 갈등이 지속되는 환경에 있으면 자녀에게 더 해롭습니다.
- 이혼 후 공동 양육을 통해 정서적 안정 유지가 가능합니다.
자녀들 때문에 자신의 삶을 포기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이혼이 자녀의 절대 불행을 의미하지는 않다고 말하고 싶습니다. 오히려 큰 부딪힘 없이 각각 살면서 성숙하고 협력적인 공동 양육이 되어 진다면 함께 살아갈 때 보다 더 낳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.
자녀를 위한 선택, 나를 위한 회복
결국 자녀에게 중요한 건 이혼여부보다 자기 자신이 여전히 부모에게 사랑 받고 있음을 확신하는 것입니다. 따라서 감정에 치우쳐 상처를 주거나 외도 문제를 자녀에게 전가하는 것은 평생 정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.
올바른 대응과 건강한 회복 과정을 통하여 최대한 불필요한 고통을 줄여가면서 정서적으로 더욱 튼튼해 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합니다. 자녀를 위한 선택이 결국 나를 위한 회복의 시작입니다.